인생 드라마

월인천강지곡 내용 구성

월인천강지곡

내용 아래를 확인하세요

👇

월인천강지곡 내용과 구성

월인천강지곡의 내용과 구성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은 세종이 석가모니의 공덕을 찬양하고,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1447년에 편찬한 장편 불교 찬가입니다. 한글 창제 직후 간행된 가장 오래된 한글 문헌 중 하나로, 불교적 서사와 한글 문학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전체 구성

  • 상·중·하 3권, 총 583장(章)
  • 현재는 상권(194장)만 완전하게 전해지며, 중권·하권은 일부 낙장본과 다른 문헌을 통해 일부 내용이 추정됨
  • 각 장은 ‘其一, 其二, …’와 같이 표기되며, 초기 장(其一)은 한 행, 그 이후(其二~)는 두 행으로 이루어짐

내용 전개

  1. 서사 – 석가모니의 위대함과 불교의 진리를 찬양하며 시작
  2. 전생 – 석가모니의 전생담을 통해 영웅적 인물로서의 자질과 불교적 인연 강조
  3. 탄생 – 석가모니의 신비로운 탄생 이야기
  4. 궁중생활 – 왕자로서의 궁중 생활, 세속적 삶의 모습
  5. 출가 – 인생의 고통을 깨닫고 출가를 결심하는 과정
  6. 수도 – 출가 후 고행과 수행, 악마의 유혹을 이겨내는 과정
  7. 성불(깨달음) –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는 장면
  8. 전법·교화 – 설법과 교화를 통해 중생을 구제
  9. 열반 – 석가모니의 마지막 순간, 열반에 드는 과정
  10. 불교의 확산 – 제자와 왕들이 불교를 널리 전파
  11. 결사 – 불교의 영원성과 석가모니 가르침의 지속을 노래

형식적 특징

  • 운문 구조: 한 장(章)은 보통 두 행(行)으로 구성, 각 행은 3구(句)로 이루어짐. 1구와 2구는 2음보, 3구는 2~4음보로 다양한 운율을 보임
  • 악장체(樂章體): 별곡 계통의 악장 형식을 완성, 이야기체 노래로 가사문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
  • 표기법: 한글을 큰 글자로, 한자를 작은 글자로 병기. 초기 한글 표기법의 특징이 잘 드러남
  • 서사성: 석가모니의 일생을 시간 순으로 영웅 서사시처럼 전개

주제와 의의

  • 불교 교리와 인륜 강조: 불교의 위대함, 교화를 통한 갈등 해소, 인륜과 도덕, 효행의 중요성 등
  • 영웅서사시적 구조: 석가모니의 일생을 영웅의 성장, 위기, 극복, 교화, 완성의 단계로 서사적으로 구성
  • 문학사적 가치: 용비어천가와 함께 조선 초기 악장문학의 대표작이자, 고려 시가와 조선 시가를 잇는 과도기적 작품

요약

월인천강지곡은 석가모니의 전생부터 탄생, 출가, 깨달음, 설법, 열반, 불교의 확산까지를 시간 순으로 장대한 서사시로 노래합니다.
한글 표기와 운문 형식, 불교 교리와 인륜의 강조, 영웅서사적 전개가 특징입니다.
조선 초기 한글 문학과 불교문학의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월인천강지곡vs용비어천가 비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