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우💫💫
월별로 볼 수 있는 유성우는?✨
👇
월별 주요 유성우 정리표
월별로 볼 수 있는 주요 유성우 정리표
월 |
유성우 이름 |
절정 시기 |
주요 특징/활동량 |
관측 권장 반구 |
1월 |
사분의자리 (Quadrantids) |
1월 3~4일 |
시간당 100~200개, 짧고 폭발적 |
북반구 중심 |
4월 |
거문고자리 (Lyrids) |
4월 21~22일 |
오래된 역사, 간혹 밝은 유성 |
전세계 |
5월 |
에타 물병자리 (Eta Aquarids) |
5월 5~6일 |
빠르고 예리, 할리 혜성 유래 |
남반구 중심 |
7,8월 |
델타 물병자리 (Delta Aquarids) |
7월 말~8월 초 |
서서히, 수일간 활동, 남반구 뚜렷 |
남반구 |
8월 |
페르세우스자리 (Perseids) |
8월 12~13일 |
시간당 100+개, 밝고 대중적 |
전세계 |
10월 |
드라코자리 (Draconids) |
10월 8~9일 |
간헐적 폭발(스톰), 일몰 직후 |
북반구 |
10월 |
오리온자리 (Orionids) |
10월 21~22일 |
빠르고 밝은 유성, 할리 혜성 |
전세계 |
11월 |
사자자리 (Leonids) |
11월 17~18일 |
대폭발 가능, 역사적 기록 다수 |
전세계 |
12월 |
쌍둥이자리 (Geminids) |
12월 13~14일 |
시간당 120+개, 굵고 밝은 유성 |
전세계 |
12월 |
우르시즈자리 (Ursids) |
12월 22~23일 |
겨울 소규모, 북반구 한정 |
북반구 |
- 이 표 외에도 소규모 또는 지역성 유성우가 더 존재합니다.
- 유성우의 활동량과 관측 조건은 해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 관측은 달빛·구름·도시불빛을 피해 맨눈으로 밤하늘이 잘 보이는 곳에서, 극대 전후 자정~새벽이 최적입니다.
- 복사점이 뜨기 시작한 뒤부터 관측이 수월해집니다.